그때에 베드로가 예수님께 다가와, “주님, 제 형제가 저에게 죄를 지으면 몇 번이나 용서해 주어야 합니까? 일곱 번까지 해야 합니까?” 하고 물었다. 예수님께서 그에게 대답하셨다. “내가 너에게 말한다. 일곱 번이 아니라 일흔일곱 번까지라도 용서해야 한다. 그러므로 하늘 나라는 자기 종들과 셈을 하려는 어떤 임금에게 비길 수 있다. 임금이 셈을 하기 시작하자 만 탈렌트를 빚진 사람 하나가 끌려왔다. 그런데 그가 빚을 갚을 길이 없으므로, 주인은 그 종에게 자신과 아내와 자식과 그 밖에 가진 것을 다 팔아서 갚으라고 명령하였다. 그러자 그 종이 엎드려 절하며, ‘제발 참아 주십시오. 제가 다 갚겠습니다.’ 하고 말하였다. 그 종의 주인은 가엾은 마음이 들어, 그를 놓아주고 부채도 탕감해 주었다. 그런데 그 종이 나가서 자기에게 백 데나리온을 빚진 동료 하나를 만났다. 그러자 그를 붙들어 멱살을 잡고 ‘빚진 것을 갚아라.’ 하고 말하였다. 그의 동료는 엎드려서, ‘제발 참아 주게. 내가 갚겠네.’ 하고 청하였다. 그러나 그는 들어주려고 하지 않았다. 그리고 가서 그 동료가 빚진 것을 다 갚을 때까지 감옥에 가두었다. 동료들이 그렇게 벌어진 일을 보고 너무 안타까운 나머지, 주인에게 가서 그 일을 죄다 일렀다. 그러자 주인이 그 종을 불러들여 말하였다. ‘이 악한 종아, 네가 청하기에 나는 너에게 빚을 다 탕감해 주었다. 내가 너에게 자비를 베푼 것처럼 너도 네 동료에게 자비를 베풀었어야 하지 않느냐?’ 그러고 나서 화가 난 주인은 그를 고문 형리에게 넘겨 빚진 것을 다 갚게 하였다. 너희가 저마다 자기 형제를 마음으로부터 용서하지 않으면, 하늘의 내 아버지께서도 너희에게 그와 같이 하실 것이다.” 예수님께서는 이 말씀들을 마치시고 갈릴래아를 떠나, 요르단 건너편 유다 지방으로 가셨다. |
예수님 말씀 중에, 말은 쉽지만 실천하기가 어려운 것이 몇 가지 있습니다. 예를 들면 ‘원수를 사랑하라’, ‘왼뺨을 맞으면 오른뺨도 돌려대라’ 같은 말씀들이죠.
오늘 말씀도 실천하기 어려운 것 중에 하나입니다. 일곱 번이 아니라 일흔일곱 번 까지라도 용서해야 한다는 말씀.
사실 그냥 한 번 용서하는 것도 쉽지 않습니다. 나에게 큰 상처를 주고 피해를 끼친 사람이 있으면, 그냥 안 마주치고 안 부딪치려 하는 걸로 용서했다고 퉁치자, 그걸로 됐다 하고 정당화시키곤 합니다.
하지만 이것이 참된 용서는 아닐 겁니다. 나와 돌아선 사람을 만나서 얼굴을 맞대고 그 사람의 손을 다시 잡아줄 수 있을 때 그것이 제대로 된 용서일 것입니다.
머리로는 압니다. 하지만 저는 아직 이렇게 할 자신이 잘 생기지 않습니다.
이렇게 한 번 용서하는 것도 쉽지 않은데, 예수님은 왜 더 부담스럽게 일곱 번, 일흔일곱 번까지 하라고 말씀하시는 걸까…
나약한 우리가 이웃을 한 번에 용서하는 것이 쉽지 않으니까, 일흔일곱 번의 고민, 갈등, 결심이 있어야 한다는 말씀이 아닌가 묵상해 봅니다.
처음에는 그와 마주치지 않는 방법으로 갈등을 피하는 것으로 시작해서, 그 다음에 나에게는 잘못이 없었는가 생각해 보고, 상대방의 입장도 한 번 생각해보게 됩니다.
시간이 지나 마음의 상처가 조금씩 아물고, 또 시간이 지나 내 마음이 조금 더 넓어지고, 상대방이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는 모습을 보며 마음이 좀 풀리기도 합니다.
기도를 통해 예수님처럼 용서해 보겠다 결심을 해 보고, 남은 인생 이렇게 용서하지 못하고 계속 살아야 되나 하는 생각으로 또 용서를 다짐해 봅니다. 다짐만 하고 실천으로 이어지지 못하면 다시 또 다짐해 봅니다.
이런 많은 과정을 겪어야지 진정한 용서가 이루어 질 수 있기 때문에, 이 쉽지 않은 용서의 과정을 예수님께서 일흔일곱 번이라는 상징적인 숫자로 말씀하신 것 같습니다.
이 어려운 과정에서 지치지 않고 용서하는 마음을 갖게 하기 위해, 예수님께서 좋은 비유말씀을 들려주셨습니다. 우리가 이미 하느님께 큰 용서를 받았음을 잊지 말라는 비유말씀입니다. 또한 내가 받은 용서를 잊어버리고 그 용서를 이웃에게 베풀지 않으면, 이미 받은 용서가 무색해진다는 것도 강조하십니다.
이 복음 말씀 나올 때마다 늘 ‘용서해야 하지…’ 하고 다짐만 반복하게 됩니다. 용서를 포기하지 않고 다짐하고 있는 것만으로도 잘 하고 있는거라고 생각해도 될지 모르겠습니다.
나를 용서해주신 하느님의 큰 사랑을 오늘 더 많이 생각하면서, 그 큰 사랑을 조금이라도 닮아보기를 또 다짐해 봅니다.
'복음묵상 -2020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복음 묵상 - 2020.08.15 가해 성모 승천 대축일 (루카 1,39-56) (0) | 2020.08.14 |
---|---|
복음 묵상 - 2020.08.14 가해 성 막시밀리아노 마리아 콜베 사제 순교자 기념일 (마태 19,3-12) (0) | 2020.08.13 |
복음 묵상 - 2020.08.12 가해 연중 제19주간 수요일 (마태 18,15-20) (0) | 2020.08.11 |
복음 묵상 - 2020.08.11 가해 성녀 클라라 동정 기념일 (마태 18,1-5.10.12-14) (0) | 2020.08.10 |
복음 묵상 - 2020.08.10 가해 성 라우렌시오 부제 순교자 축일 (요한 12,24-26) (0) | 2020.08.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