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복음묵상 -2020년

복음 묵상 - 2020.08.20 가해 성 베르나르도 아빠스 학자 기념일 (마태 22,1-14)

728x90
    그때에 예수님께서는 여러 가지 비유로 수석 사제들과 백성의 원로들에게 말씀하셨다.
    “하늘 나라는 자기 아들의 혼인 잔치를 베푼 어떤 임금에게 비길 수 있다.
    그는 종들을 보내어 혼인 잔치에 초대받은 이들을 불러오게 하였다. 그러나 그들은 오려고 하지 않았다.
    그래서 다시 다른 종들을 보내며 이렇게 일렀다. ‘초대받은 이들에게, ′내가 잔칫상을 이미 차렸소. 황소와 살진 짐승을 잡고 모든 준비를 마쳤으니, 어서 혼인 잔치에 오시오.′하고 말하여라.’
    그러나 그들은 아랑곳하지 않고, 어떤 자는 밭으로 가고 어떤 자는 장사하러 갔다.
    그리고 나머지 사람들은 종들을 붙잡아 때리고 죽였다.
    임금은 진노하였다. 그래서 군대를 보내어 그 살인자들을 없애고 그들의 고을을 불살라 버렸다.
    그러고 나서 종들에게 말하였다. ‘혼인 잔치는 준비되었는데 초대받은 자들은 마땅하지 않구나.

    그러니 고을 어귀로 가서 아무나 만나는 대로 잔치에 불러오너라.’
    그래서 그 종들은 거리에 나가 악한 사람 선한 사람 할 것 없이 만나는 대로 데려왔다. 잔칫방은 손님들로 가득 찼다.
    임금이 손님들을 둘러보려고 들어왔다가, 혼인 예복을 입지 않은 사람 하나를 보고,
    ‘친구여, 그대는 혼인 예복도 갖추지 않고 어떻게 여기 들어왔나?’ 하고 물으니, 그는 아무 말도 하지 못하였다.
    그러자 임금이 하인들에게 말하였다. ‘이자의 손과 발을 묶어서 바깥 어둠 속으로 내던져 버려라. 거기에서 울며 이를 갈 것이다.’
    사실 부르심을 받은 이들은 많지만 선택된 이들은 적다.”

    오늘 복음 말씀을 읽고 나서 곧바로 드는 생각은 ‘거 참, 혼인 잔치 한 번 하기 참 힘드네..’ 라는 생각이었습니다.

 

    오기로 사람들은 죄다 오고, 그래서 다시 오라고 불러도 다른데 간다고 고집을 부렸습니다.

    그래서 좋은 잔칫날에 임금이 군대를 보내고 고을을 불사르는 사달이 나게 했습니다.

 

    그러고 나서 손님들 자리를 채우기 위해 아무나 오시라 불렀습니다. 그런데 이번에는 옷이 문제였습니다.

    잔치에 때는 잔치에 맞는 옷을 차려 입는 것이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사람들 사이에 지켜지는 일종의 상식이죠. 그런데 상식을 지키지 않은 사람이 있었습니다.

    그래서 좋은 잔칫날에 손발 묶고 울고 이를 가는 사달이 나게 합니다.

 

    기쁘고 즐거워야 혼인 잔치가 어찌 이런 난리가 나는 자리가 되는가...

    이 하늘 나라에 대한 비유의 의미가 무엇일까 생각해 보게 됩니다.


    저는 예수님 입장에서 ‘사람 하나 하늘나라에 오게 하기 참 힘들다.’ 예수님의 하소연으로 듣게 됩니.

 

    부르고 부르고, 오면 다시 오라고 초대하는 것이 예수님 마음입니다. 그래서 우리가 조금만 관심을 갖고 신경을 쓰면 이루어지는 것이 하느님 나라입니다.

    하지만 그것이 마음처럼 안되는 것이 예수님은 안타까우셨던 같습니다. 사람들의 마음은 너무나도 차갑고 또 무심했습니다.

 

 

    우리가 조금만 하느님 나라에 대해 마음이 있고 관심이 있으면, 이미 초대 받았다는 것을 알고 시간을 비워두고 마음 씀씀이를 하느님 나라를 위해 것입니다.

    그리고 하느님 나라에 어울리는 사람이 되고자 한다면, 잔치에 어울리는 옷을 입는 정도의 상식을 갖고 행동할 것입니다.

 

    오늘 복음의 비유말씀을 되새기며, 나는 하느님의 초대보다 다른 일에 마음을 빼앗기고 있는 것은 아닌지, 하느님 나라의 잔치에 어울리는 옷이 아닌 다른 옷을 입은 삶이 아닌지를 되돌아 봅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