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복음묵상 -2020년

복음 묵상 - 2020.08.28 가해 성 아우구스티노 주교 학자 기념일 (마태 25,1-13)

728x90
    그때에 예수님께서 제자들에게 이런 비유를 들어 말씀하셨다. “하늘 나라는 저마다 등을 들고 신랑을 맞으러 나간 열 처녀에 비길 수 있을 것이다.
    그 가운데 다섯은 어리석고 다섯은 슬기로웠다.
    어리석은 처녀들은 등은 가지고 있었지만 기름은 가지고 있지 않았다.
    그러나 슬기로운 처녀들은 등과 함께 기름도 그릇에 담아 가지고 있었다.
    신랑이 늦어지자 처녀들은 모두 졸다가 잠이 들었다.
    그런데 한밤중에 외치는 소리가 났다. ‘신랑이 온다. 신랑을 맞으러 나가라.’
    그러자 처녀들이 모두 일어나 저마다 등을 챙기는데,
    어리석은 처녀들이 슬기로운 처녀들에게 ‘우리 등이 꺼져 가니 너희 기름을 나누어 다오.’ 하고 청하였다.
    그러나 슬기로운 처녀들은 ‘안 된다. 우리도 너희도 모자랄 터이니 차라리 상인들에게 가서 사라.’ 하고 대답하였다.
    그들이 기름을 사러 간 사이에 신랑이 왔다. 준비하고 있던 처녀들은 신랑과 함께 혼인 잔치에 들어가고, 문은 닫혔다.
    나중에 나머지 처녀들이 와서 ‘주인님, 주인님, 문을 열어 주십시오.’ 하고 청하였지만,
    그는 ‘내가 진실로 너희에게 말한다. 나는 너희를 알지 못한다.’ 하고 대답하였다.
    그러니 깨어 있어라. 너희가 그 날과 그 시간을 모르기 때문이다.”

    임종을 앞둔 신자분들에게 병자성사를 드리러 때가 있습니다. 가지 경우 경험하게 됩니다.

 

    먼저 성사를 받으시는 분이 평소에 성당을 열심히 나오셨고 가족들도 함께 신앙생활을 하신 경우입니다.

 

    이 가정에 들어가면 먼저 할머니(혹은 할아버지) 손을 잡고 인사를 하게 됩니다. "아이고, 할머니. 잘 지내셨죠~ 얼른 나으셔서 기운 차리시고 미사 나오셔야죠. 새벽미사 때 할머니 자리 비어있는거 보면서 매일 할머니 위해서 기도합니다." 이런 말을 드릴 있습니다. 그러면 할머니도 너무 좋아하시며 저를 기쁘게 맞아주시고, 감사하다는 마음을 전해 주십니다.

    그리고 가족들이 함께 모여서 병자성사 예식을 진행합니다. 가족들이 함께 기도해주니 주례하는 신부도 편하게 성사를 드릴 있습니다.

 

 

   

    반대로 성사를 받으시는 분도 성당에 나오셨고 가족들도 오랫동안 냉담을 경우입니다

 

    임종을 앞두니 그제서야 급한 마음에 신부를 부르셨습니다. 하지만 평소에 뵙지 못한 분이시라 개인적으로 드릴 말씀이 없고, 건강하십시오. 기도하겠습니다.’ 정도의 말씀만 드리게 됩니다.

    병자성사 예식을 진행하면 분위기는 어색해집니다. 가족들이 오래 냉담을 하셔서, 성호경을 긋는 것도, 사제의 기도에 응답하는 것도, 기도문 외우는 것도 전혀 하지 못하십니다. 제가 ‘주님께서 여러분과 함께’ 해도 아무 답이 없으니 제가 ‘또한 사제와 함께’ 하면서 혼자 해야 합니다.


    이런 경험을 여러 겪어봤습니다. 그러면서 내가 하느님 앞에 서게 , 나는 하느님과 편안하고 기쁘게 대화할 있을까, 아니면 하느님과의 만남이 어색하고 대화를 하는 데에 주저하는 모습이지는 않을까를 생각해보게 됩니다.

 

    기름을 준비해둔 슬기로운 처녀들은 신랑이 왔을 , 기쁘게 신랑을 맞이하고 혼인 잔치에 함께 들어갔습니다. 하지만 기름이 없는 어리석은 처녀들은 신랑을 맞이하지도 못하고 잔치에서도 쫓겨났습니다. 

 

    성경을 읽는 사람의 각자의 생각에 따라 기름’ 상징하는 의미 다르게 다가올 겁니다. 앞에서 말한 병자성사를 받는 분들의 모습을 떠올려 보면, 저는 미사와 기도가 기름 의미가 아닐까 생각하게 됩니다.

 

    미사에 성실히 참여하고 꾸준히 기도하시는 분들에게 사제는 편안히 다가갈 있었습니다. 하느님도 그러하시리라 생각합니다. 하느님도 그분들에게 편안히 다가가실 것입니다.

 

    하느님을 편안하게 드릴 있는 기름, 그분이 오시는 길을 비춰드릴 있는 기름을 준비하는 오늘 하루를 보냅니다.

728x90